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오픈소스
- kotlin
- Coroutine
- Streaming
- 명심보감
- 좋은글필사하기
- recyclerview
- 넷플릭스
- Linux
- 소울칼리버6
- Flutter
- androidx
- 코틀린
- 파이썬
- jetpack compose
- 1인개발자
- 장자명언
- bash
- 공자명언
- 명언모음
- 벤자민플랭클린
- Android
- DART
- 이모지메모
- Firebase
- 공부집중
- 이모지
- Freesound
- ASMR
- FSM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29)
Vintage appMaker의 Tech Blog

좋은글 필사하기 goodhandwriting.storyshare.co.kr 나의 인생 신조는, 일로 즐거움을 삼고 즐거움을 또한 나의 가장 큰 일로 삼는 것이다. - 아이론 바하 아이론 바하가 누군지 모르겠습니다. 🙄 검색해도 명확한 정보가 없지만 여기저기 좋은 글로 공유되는 1인임은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그가 말한 "즐거운 일을 해야 한다" 라는 말은 굳이 명사들의 명언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공감하는 문장입니다. ... 사람들은 서로에게 "열심히"를 강요하면서 ▪ 명예를 위해 ▪ 부를 위해 ▪ 성공을 위해 라는 말을 덧붙입니다. 그런데, 정작 중요한 "즐거움"은 빠져있습니다. 목적을 두고 성취를 하려면 노력하는 시간에 "즐거움"을 만들어야 합니다. 어떤 식으로든지 "즐거움"이 만들어진다면 성취로 가는 길..

- let, also는 kotlin에서 자주 사용되는 함수이다. - ?. 연산자를 이용하여 null check를 편리하게 처리한다. - 주로 지역변수의 사용과 if문을 최소화하여 무결점 코드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 let의 경우, 연산된 값으로 return이 가능하다. - also의 경우, 파라메터로 받은 값을 그대로 return 한다. // let은 연산된 값으로 return 할 수 있고 // also는 파라메터로 받은 값을 그대로 return 한다. fun main(args: Array) { normalStyle() funcionalStyle() } private fun normalStyle() { val animals = "고양이 까치 개 쥐 독수리" val lstAnimals = animal..

Landscape with a Stone Bridge by Rembrandt van Rijn - Artvee 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was a Dutch draughtsman, painter, and printmaker. An innovative and prolific master in three media, he is generally considered one of the greatest visual artists in the history of art and the most important in Dutch art histo artvee.com

"사람들은 권위"에 맹종하는 습관이 있다. 그렇기에 권위에 속는다. 가 실험의 목적이었다. 민감한 사회이슈에 "권위자"를 포함시켜 글을 정당화 하려는 행위나 짜집기 "자기계발서"에서 저자를 귄위자로 포장하는 행위는 폭스강연 실험처럼 "인간이 귄위"에 맹목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라면 예외는 없다고 생각한다. 단, 개인마다 귄위를 인정하는 분야가 다르기에 모든 사람이 귄위에 속지는 않는다. - 링크된 "포스팅을 읽고" 블로그 주인의 생각을 정리한 것임 🎨 위키독 폭스 강연 실험 - 권위와 헛소리에 대하여 - 일상과학 WiKi - 위키독 아인슈타인은 누구나 알고 있는 유명한 과학자 중 한 사람이다. 그런 그에게 대학생을 상대로 강연을 시켰는데 말도 안되지만 그럴듯한 헛소리만 반복한다고 가정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