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코틀린
- kotlin
- 공부집중
- FSM
- 벤자민플랭클린
- 오픈소스
- Firebase
- Streaming
- 명심보감
- 이모지메모
- Coroutine
- Linux
- 파이썬
- jetpack compose
- 장자명언
- ASMR
- 1인개발자
- DART
- 이모지
- androidx
- 넷플릭스
- Android
- 공자명언
- 명언모음
- recyclerview
- Freesound
- Flutter
- bash
- 좋은글필사하기
- 소울칼리버6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28)
Vintage appMaker의 Tech Blog
Room은 Android에서 데이터베이스를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으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구조적으로는 SQLite의 위에서 편리한 기능을 처리해주는 Wrapper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ROOM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정을 거쳐야 한다. - gradle 설정 - entity 정의(DAO) - database 초기화 - 코루틴으로 사용 1. gradle 설정 gradle 설정시 room에서는 kotlin의 annotation이 달라지므로 플러그인으로 kapt를 정의해야 한다. 그리고 room과 코루틴 라이브러리를 정의한다. 참고로 코루틴의 경우, core와 android의 버전을 동일시 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build.gr..
화장은 하는 것보다 지우는 것이 중요하다 개발을 하다보면 너무나 훌륭한 오픈소스 프레임웍(Open source Frameworks)들을 만나게 된다. 프로그래밍에서 프레임웍 없이 개발할 경우, 수많은 보일러 프레이트 코드를 생산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하지만 잘 만들어진 프레임웍 또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경우 코드량을 현격히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빠른 생산능력을 얻게된다. 경험상, 2010년 전후로 국내에서도 오픈소스가 보편화됨을 체감할 수 있었다. "놀라울 정도로 고성능"의 코드들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많은 개발자들이 환호했고 오픈소스 분위기에 편승했다. 그러다보니 같은 결과물을 얻기위해 "[훌륭한] 소스코드" 가 무수한 방법론으로 제시되기 시작했다. 이제는 backend, f..
Android 화면을 만들면서 Activity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Activity + Fragment(s)의 구조로 관리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 경우, BottomNavigationView를 만들어 하단메뉴를 구현할 때도 많다. BottomNavigationView로 하단메뉴를 만들 때에는 다음 3가지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Fragment로 이동 Fragment를 대체할 XML내의 위젯을 배치한다. 이를 설명할 때, FrameLayout를 사용한 예제가 많은 편이다. Fragment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supportFragmentManager에서 아래와 같은 코드로 Fragment를 넘겨주면 된다. 그리고 setOnNavigationItemSelectedListener에서 하단메뉴를 클릭시, 원하..
어떤 개발자들은 프로그래밍 기술을 순수학문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절대로 아니다. 프로그래밍 기술은 산업에 밀착된 기술이기에 이론보다는 시장 활용성(얼마나 많이, 얼마나 편리하게 사용되는가…)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특정기술에서 제공하는 설명을 무조건 믿어서는 안된다. 어느정도 색안경을 끼고 자신의 생각으로 검증을 해보아야 한다. 다음은 어떤 트랜드한 기술을 공부할 때, 개발자가 채크해보아야 할 내용이다. 그 기술이 나쁘다 좋다의 판가름을 위함이 아니다. 단지, 나에게 필요한 내용과 불필요한 내용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이다. 프로그래밍 기술도 마케팅한다. 놀랍게도 당연한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관심없어 하는 부분이다. 그 기술이 재단이던 법인이던 개인이던 관계없이 기술에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