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DART
- 명언모음
- jetpack compose
- 이모지메모
- 1인개발자
- 장자명언
- androidx
- 공자명언
- 공부집중
- 코틀린
- Coroutine
- 이모지
- Streaming
- 오픈소스
- FSM
- ASMR
- Firebase
- 파이썬
- 좋은글필사하기
- 명심보감
- kotlin
- 넷플릭스
- recyclerview
- Freesound
- bash
- 벤자민플랭클린
- Android
- Linux
- 소울칼리버6
- Flutter
Archives
- Today
- Total
Vintage appMaker의 Tech Blog
kotlin에서 DI 빠르게 이해하기 본문
DI(Dependency Injection)는
클래스 내에 사용하는 내부 클래스를 외부에서
생성하고 주입할 경우 사용하는 패턴이다.
왜 사용할까?
수정을 용이하게 함이 목적이다.
내부 클래스를 외부 클래스에서 직접 생성을 할 경우,
내부 클래스의 구조와 객체를 변경할 일이 있으면
내부 클래스를 사용한 모든 외부 클래스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므로 DI는 코드수정을 용이하게 함이 목적이므로 때에 따라 강력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언제나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지나친 DI 구조가 가독성을 떨어트리는 경우도 많다)
kotlin의 경우, DI 라이브러리 또는 프레임웍으로 자주 사용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Android 전용의 Hilt
2. Dagger
3. Koin
4. kodein(Ktor)
그러나 개발자의 코딩스타일로도 나름의 DI를 구현하는 경우도 많다. 다음은 가장 심플한 DI를 설명하는 예제이다.
package others
class InnerCls(s : String){
var initString = s
fun display() = "${this.javaClass} : ${initString}"
}
// DI(Dependency Injection)는 클래스 내에 사용하는 내부 클래스를 외부에서 생성하고 주입할 경우 사용하는 패턴이다.
// DI는 내부 클래스의 코드수정으로 인해 외부클래스의 코드수정을 최소화 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약한 결합력이 목표)
// DI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내부 클래스 변경 시, 이를 사용한 클래스 모두를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 DI를 언급할 때는 주로 프레임웍(Koin, dagger, hilt..)을 사용할 경우이다.
// 개발자들이 알아서 DI 패턴과 비슷한 코딩스타일로 주입하는 경우도 많다.
// 1.일반적으로 가장많이 사용하는 방법(DI 사용하지 않는 방법)
// class내에서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
// 대부분 편리하지만, 내부객체의 구조(InnerCls의 생성자)가 바뀐다면
// 사용한만큼 수정을 해야한다.
class OuterCls1{
var inner : InnerCls
init {
inner = InnerCls("1.내부에서 생성")
}
fun printMsg(){
println ( inner.display())
}
}
// 2.생성자를 통한 외부주입
// 외부주입을 할 경우, 많이 사용된다.
class OuterCls2(inn : InnerCls){
var inner : InnerCls = inn
fun printMsg(){
println ( inner.display())
}
}
// 3.setter 통한 외부주입
class OuterCls3{
lateinit var inner : InnerCls
fun printMsg(){
println ( inner.display())
}
}
// 3.setter 통한 외부주입
class OuterCls4{
lateinit var inner : InnerCls
fun printMsg(){
println ( inner.display())
}
}
// 4.생성관리 모듈을 사용
// DI 관련 프레임웍(koin, Hilt, Dagger, kodein...)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 가장 많이 사용하는 코딩스타일
object InnerService {
var instance : InnerCls?= null
fun getInstance(s : String) : InnerCls{
return InnerCls(s)
}
fun getSingleton(s : String) : InnerCls{
return if(instance == null ){
instance = InnerCls(s)
instance!!
} else{
instance!!
}
}
}
fun main() {
OuterCls1().printMsg()
OuterCls2(InnerCls("2.생성자로 넘김")).printMsg()
OuterCls3().apply {
inner = InnerCls("3.setter로 넘김")
printMsg()
}
// 외부클래스를 관리하여 inject하는 초간단 코드
val outList = listOf(OuterCls3(), OuterCls4(), OuterCls4(), OuterCls3())
instanceInject(outList)
singletonInject(outList)
}
private fun singletonInject(outList : List<Any>) {
outList.forEach {
obj ->
val inn = InnerService.getSingleton("")
when(obj){
is OuterCls3 ->{
obj.apply {
inner = inn
inner.initString = "inner singlton => out(${obj}) inner(${inn})"
printMsg()
}
}
is OuterCls4 ->{
obj.apply {
inner = inn
inner.initString = "inner singlton => out(${obj}) inner(${inn})"
printMsg()
}
}
else -> {}
}
}
}
private fun instanceInject(outList : List<Any>) {
val outList = listOf(OuterCls3(), OuterCls4(), OuterCls4(), OuterCls3())
outList.forEach {
obj ->
val inn = InnerService.getInstance("")
when(obj){
is OuterCls3 ->{
obj.apply {
inner = inn
inner.initString = "inner instance => out(${obj}) inner(${inn})"
printMsg()
}
}
is OuterCls4 ->{
obj.apply {
inner = inn
inner.initString = "inner instance => out(${obj}) inner(${inn})"
printMsg()
}
}
else -> {}
}
}
}
'Source code or Tip > Android(Java,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Ktor 서버 프로그래밍 - 빠르게 시작하기 (0) | 2022.07.14 |
---|---|
[Android] 새로운 프로젝트로 jetpack compose를 고민한다면 한 번쯤 고민하는 내용. (0) | 2022.05.08 |
[Android] SQLite를 편하게, Room 빠르게 사용하기 (0) | 2022.04.15 |
[Android] BottomNavigationView의 onBackPressed처리 (0) | 2022.04.08 |
[Android 12] Pending Intent 적용정책 (0) | 2022.04.04 |
Comments